
JPA를 사용한다면 열 번, 백번 꼭 들어봤을 단어들이다.즉시로딩과 지연로딩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프록시 개념은 필수적이다.즉시로딩(EAGER)의 문제점엔티티들은 서로 복잡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.여기 "Family" 와 "Cat" 이 1:N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.Cat1의 이름을 출력하고 싶을 뿐인데, Family가 계속 데이터베이스에서 매번 즉시 조회 되면 어떨까?고양이 한 마리 이름 조회에 필요 이상의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고 성능적인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. 지연 로딩(LAZY) 의 본체여기서 지연로딩이 사용된다.Cat을 조회하고 연관된 Family는 나중에 조회한다는 의미로 지연된 로딩이다. 하지만 연관관계가 있다면 Cat 클래스에는 Family 가 필요하다. 객체지향적으로 우리는 cat...
Data
2025. 3. 9. 07:47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http
- 테스트
- 트랜잭션
- java
- JPQL
- 바이브코딩
- 클린코드
- datalock
- 리팩토링
- JPA
- queryDSL
- mock
- 로드맵
- 인프런
- 다형성
- MSA
- Spring
- 객체지향
- Solid
- 더티체킹
- Lazy
- MYSQL
- 마이크로서비스
- 개발자취준일기
- 코딩테스트
- 프로젝트기획
- feignclient
- 트러블슈팅
- 기술도서
- JaCoCo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